1. 개요
(1) 정의
●Open System Interconnection(개방형 시스템)의 약자로 개방형 시스템과
상호접속을 위한 참조 모델
●ISO(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: 국제 표준화 기구)에서 1977년 통신기
능을 일곱 개의계층으로 분류하고 각 계층의 기능 정의에 적합한 표준화된 서비스 정의
와 프로토콜을 규정한 사양
(2) 목적
● 시스템간의 통신을 위한 표준 제공
● 시스템간의 통신을 방해하는 기술적인 문제들을 제거
● 단일 시스템의 내부 동작을 기술하여야 하는 노력을 없앨 수 있다.
● 시스템간의 정보교환을 하기위한 상호 접속점을 정의
● 관련규격의 적합성을 조성하기 위한 공통적인 기반 구성
(3) 기본요소
●개방형 시스템(open system): OSI에서 규정하는 프로토콜에 따라 응용 프로세스(컴퓨터,통
신제어장치, 터미널 제어장치,터미널)간의 통신을 수행할 수
있도록 통신기능을 담당하는 시스템
●응용 실체/개체(application entity):응용 프로세스를 개방형 시스템상의 요소로 모델화한 것
●접속(connection) : 같은 계층의 개체 사이에 이용자의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논리적인 통신
회선
●물리매체(physical media) : 시스템간에 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해주는 전기적인 통신
매체(통신회선,채널)
2. OSI 계층 구조
![사용자 삽입 이미지](https://t1.daumcdn.net/tistoryfile/fs2/14_18_10_14_blog109445_attach_0_1.jpg?original)
(1) Physical layer(물리 계층)
● 장치(device)들간의 물리적인 접속과 비트 정보를 다른 시스템으로 전송하는데 필요한
규칙을 정의.
● 비트 단위의 정보를 장치들 사이의 전송 매체를 통하여 전자기적 신호나 광신호로 전달하는
역할
기계적 = 시스템하고 주변장치 사이의 연결을 하는 사항들을 의미
전기적 = 신호의 전위 규격과 변화의 타이밍에 관한 거
(데이터 전송속도와 통신 거리를 결정)
기능적 = 각 신호에 의미를 부여해서 무엇을 할 것인가를 정의
(또는 수행되는 기능을 정의)
절차적 = 기능적 특성에 의해 데이타를 교환하기 위한 절차를 규정
(2) Data Link layer(데이터 링크 계층)
● 인접한 두 시스템을 연결하는 전송 링크 상에서 패킷을 안전하게 전송 것
● 기능 : 링크의 양단간(end-to-end)에 데이터 이송
링크의 확립과 절단
링크의 에러 검출
링크의 공유
투명한 데이터의 흐름
링크의 오류 회복과 통지
● 전송제어 절차
※ 기본형 데이터
OSI 참조 모델의 데이터링크 계층에 대한 규격으로, 단말장치 또는 호스트 컴퓨터 사이에
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표준 프로토콜
- 전송 제어 기능은 10개의 전송 제어문자를 사용하여 실행
- 송신권의 제어로는 컨텐션(Contention)방식, 폴링(Polling)/셀렉션(Selection)방식있음
- 전송방식은 단방향 통신을 기본으로 하며 반이중, 전이중 통신도 가능
- 매 정보마다 수신확인을 수행하는 블록전송방식(stop-and-wait ARQ)사용
※BSC (Binary Synchronous Communication)전송제어 절차
- IBM사가 동기 데이터 전송을 위해 개발한 절차로 주로 컴퓨터와 일괄 처리용 단말장치
또는 디스플레이어 사이에서 이용하는 전송제어 절차로 BISYNC(Binary Synchronous
Protocol)이라고도 함
- 1968년 IBM에서 발표한 후 1973년 SDLC가 발표될 때까지 사용되어온 문자방식 프로토콜
※HDLC 전송제어 절차
- 임의의 비트 길이 정보를 프레임이라고 하는 전송 제어 단위로 분할하며 프레임 내의
제어 정보에 포함되는 명령과 응답을 이용하여 연속적인 정보를 전송하는 제어절차
특징 : 비트방식 프로토콜
통신방식 : 단방향, 반이중,전이중 통신방식이 모두 사용가능
전송 효율의 행상 : 수신 응답이 없이도 어느 범위까지는 정보메세지를 연속으로
전송할 수 있으므로 회선의 효율을 높일 수 있음
신뢰성의 향상 : 모든 정보에 대해 오류조사 수행
비트 투과성 : 어떤 비트 패턴이라도 전송가능
데이터 링크 형식 : point to point, multipoint , loop등 모두 가능
HDLC 프레임 구성
![사용자 삽입 이미지](https://t1.daumcdn.net/tistoryfile/fs2/14_18_10_14_blog109445_attach_0_2.jpg?original)
◎ 플래그 : 프레임 개시 또는 종료를 표시
◎ 주소부 : 명령을 수신하는 모든 2차국(또는 복합국)의 주소,응답을 송신하는 2차국
(또는 복합국)의 주소를 지정하는데 사용
◎ 제어부 : 1차국(또는 복합국)이 주소부에서 지정한 2차국 (또는 복합국)에 동작을
명령하고, 그 명령에 대한 응답을 하는데 사용
◎ 정보부 : 이용자 사이의 메시지와 제어정보가 들어 있는 부분.
(정보부의 길이와 구성에 제한이 없으며 송수신간 합의에 따름)
◎FCS :주소부,제어부,정보부의 내용이 오류가 없이 상대측에게 정확히 전송 되는가를
확인하기 위한 오류 검츌용 다항식
◎플래그 : 프레임 개시 또는 종료를 표시
(3) Network layer(네트워크 계층)
●송신 노드에서부터 수신 노드로 패킷을 안전하게 전송
●routing (전송 경로 선택), flow control(흐름제어),error control(에러 제어)
●대표적 프로토콜 :X.25
(4) Transport layer(전송 계층)
●상위계층에서 확립된 응용 프로그램 간의 논리적 연결과 데이터 전송을 직접 담당하는
하위 계층들을 연결하는 가교 역할
●목적 : 통신 시스템간의 신뢰성 있는 연결을 보장
●기능 : -패킷의 분할과 재조립 : 송신지는 데이터를 일정한 크기의 패킷으로 분할하고,
수신지는 분할된 패킷을 순서대로 재조립
-흐름제어 ,에러제어
(5) Session layer (세션 계층)
● 사용자 지향적인 연결 서비스를 제공
● 전송계층은 통신 당사자 양단간에 연결을 생성, 유지하는 책임이 있지만 세션 계층은 기본
적인 연결 서비스에 부가 가치를 덧붙임으로써 사용자 접속 장치를 제공
● 응용 프로그램간의 논리적 연결을 확립하고 관리
● 기능
- 대화형태 관리 : 전이중(duplex),반이중(half-duplex)
- 그룹화(grouping) : 응용 프로그램들이 요구하는 작업들을 하나로 처리하여 일괄
- 검사절(check point) : 데이터의 중간 중간에 검사점을 삽입하여 전송 에러가 발생한
경우 에러 복구를 쉽게 처리
(6) Presentation layer (표현 계층)
● 응용 엔티티 간에 사용되는 구문(Syntax)을 정의하고 사용되는 표현을 선택하거나
교정하는 역할
● 보안을 위한 암호화와해독(Encryption / Decryption), 효율적인 전송을 위해 데이터
압축 등의 기능을 수행
● 표준 표현 형식을 위해서 ISO가 제안한 ASN.1을 많이 사용
● 기본 기능 - 연결 설정 기능
연결 해제 기능
문맥 관리 기능
정보 전송 기능
대화 제어 기능
(7) Application layer(응용 계층)
●네트워크를 통한 응용 프로그램간의 정보 교환을 담당
●사용자가 직접 접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의미
●응용 계층의 기능 요소
공통 응용 서비스 요소(CASE : Common Application Service Elements) :
응용 계층 내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서비스 요소로써 사용자들 사이의 대화 유형이나
파일 전송 구조와 같은 대화 유형을 선택할 수 있는 프로토콜을 제공
특정 응용 서비스 요소(SASE : Specific Application Service Elements) :
파일 전송(FTAM : file Transfer , Access and Manipulation),다른 사용자의 터미널을 동일
규격의 터미널로 간주할 수 있는 가상 터미널(VT : Virtual Terminal)등의 특정 응용 요소들을
제공
![사용자 삽입 이미지](https://t1.daumcdn.net/tistoryfile/fs2/14_18_10_14_blog109445_attach_0_3.jpg?original)
※ OSI 7 계층과 TCP / IP프로토콜의 대응관계
![사용자 삽입 이미지](https://t1.daumcdn.net/tistoryfile/fs3/15_18_10_14_blog109445_attach_0_0.jpg?original)
인터네트워킹 : http://blog.naver.com/captainship/20034664814